이병훈 (연출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병훈은 1974년 MBC에서 연출가로 데뷔하여, 역사/사극 장르를 발전시킨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다. 1983년 신봉승 작가와 함께 제작한 대하드라마 《조선왕조 500년》을 시작으로, 《허준》, 《대장금》, 《이산》, 《동이》 등 다수의 히트 사극을 연출하며 한국 드라마의 시청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는 주로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전문직 여성의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을 통해, 한류 열풍을 이끌고 여러 차례 연출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왕조 오백년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 조선왕조 오백년 -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1983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는 조선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세종 이도의 인간적인 고뇌와 훈민정음 창제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한인수가 세종 역을 맡아 MBC 연기대상 TV부문 남자 우수상을 수상했다. - 우봉 이씨 - 이병린
이병린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변호사로 활동하며 서울변호사회 부회장, 대한변호사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6.3 사태 당시 비상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구속되었으며,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공동대표와 유신헌법 철폐 운동을 주도하며 인권 운동에도 힘썼고, 법치주의 확립과 사법권 독립을 강조하며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인물이다. - 우봉 이씨 - 이어령
이어령은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소설가, 언론인, 교수, 국어학자이자 초대 문화부 장관을 역임한 공무원으로, 사회 비평, 교육 활동, 올림픽 기획, 저술 활동 등을 통해 한국과 일본, 디지털 시대 문명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연출상 수상자 - 김재형 (연출가)
김재형은 1961년 《국토만리》를 시작으로 《용의 눈물》, 《여인천하》 등 다수의 인기 사극을 연출하여 '사극의 거장'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이다.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연출상 수상자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이병훈 (연출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병훈 |
로마자 표기 | I Byeong-hun |
한글 | 이병훈 |
한자 | 李丙勳 |
출생일 | 1944년 10월 14일 |
출생지 | 연기군, 충청남도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
직업 |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 제작자 |
활동 기간 | 1970년–현재 |
학력 | 서울대학교 – 임학과 |
2. 학력
3. 경력
이병훈은 1970년 MBC에서 근무를 시작했으며, 1974년 연출가로 데뷔했다.[1]
1983년, 작가 신봉승과 함께 8년에 걸쳐 대하드라마 ''조선왕조 500년''을 제작했다. 이는 역사/사극(한국어로 사극이라고 불림) 장르를 단순한 역사 연대기에서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진본 기록을 해석하는 것으로 바꾸었다. 이후 김정수 작가의 현대극 ''엄마의 바다''(1993) 역시 최고 시청률 51.6%를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1]
1999년, 이병훈은 왕족과 권력자 대신 "평민" 출신 역사 인물에 초점을 맞춘 최초의 한국 사극 ''허준''으로 사극 장르에 혁신을 가져왔다. 전광렬은 동의보감을 저술하고 전통 의학의 기틀을 다진 어의 허준 역을 맡았다. ''허준''은 최고 시청률 64%를 기록하며 역대 한국 드라마 시청률 4위를 기록했다.[1][2]
2001년에는 최인호의 소설을 각색한 상도가 방영되었는데, 이병훈은 다시 임상옥 역에 전광렬을 캐스팅했다.[3] 언론인들은 이병훈이 이전의 접근성 부족과 진부한 서사로 인해 노년층 남성 시청자들에게 어필했던 사극 장르를 젊은 시청자들에게 매력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퓨전 사극"이라는 용어로 만들었다.[4]
2003년 사극 ''대장금''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주인공 장금은 한국 궁중 요리를 배우고 조선 최초의 여성 어의가 된다. ''대장금''은 최고 시청률 57.8%를 기록했으며 (역대 한국 드라마 시청률 10위), 1500만달러를 들여 제작되어 91개국으로 수출되었고, 한류의 주요 동력 중 하나가 되어 전 세계적으로 1.034억달러를 벌어들였다. 배우 이영애는 중국의 슈퍼스타로 떠올랐고 한국 문화의 아이콘이 되었다.[5]
이병훈은 이후에도 히트 사극을 연출했다. ''서동요''(2005)는 백제 무왕과 신라 선화공주의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배우 조현재와 이보영 출연).[6] ''이산''(2007)은 정조와 그의 후궁 의빈 성씨의 러브 스토리를 다루었다 (배우 이서진과 한지민 출연).[7] ''동이''(2010)는 무수리 출신으로 숙종의 후궁이 된 숙빈 최씨의 이야기를 다룬다(배우 한효주 출연).[8][9] ''마의''(2012)는 말 수의사에서 어의가 되는 역할을 맡은 배우 조승우의 첫 TV 시리즈 출연작이다.[10]
이병훈은 작가 최완규와 함께 ''허준''과 ''상도''를, 작가 김이영과 함께 ''이산'', ''동이''와 ''마의''를, 작가 김영현과 함께 ''대장금''과 ''서동요''를 작업했다. 2016년, 이병훈은 극작가 최완규 (작가)|lt=최완규한국어와 MBC 창사 55주년 기념 드라마 ''옥중화''로 세 번째 협업을 했다. 이 드라마는 옥중에서 태어나 가난하고 억울한 사람들을 변호하는 소녀의 이야기로, 진세연이 주인공을 맡았다. 22세의 여배우는 이병훈의 역대 최연소 여성 주인공이 되었다.[11]
4. 작품
이병훈 PD는 드라마 연출과 기획 분야에서 폭넓게 활동하며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대표작으로는 ''조선왕조 오백년'', ''허준'', ''대장금'', ''이산'', ''동이'' 등이 있다.
1983년부터 1990년까지는 작가 신봉승과 함께 대하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을 제작했고,[1] 1999년에는 허준을 통해 사극 장르에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1][2] 2003년 대장금은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한류 열풍을 이끌었다.[5] 이후에도 ''서동요''(2005), ''이산''(2007), ''동이''(2010), ''마의''(2012), ''옥중화''(2016)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4. 1. 연출
이병훈은 1970년 MBC에 입사하여 1974년 드라마 연출을 시작했다.방영 연도 | 작품 제목 | 방송사 |
---|---|---|
1974년 | 113 수사본부 | MBC |
1974년 | 수사반장 | MBC |
1974년 | 얼굴 | MBC |
1975년 | 잊어버린 얼굴 | MBC |
1975년 | 제3교실 | MBC |
1976년 | 소나기 | MBC |
1977년 | 고향 | MBC |
1979년 | 역사의 인물 | MBC |
1979년 | 홀로 서는 나무 | MBC |
1980년 | 사랑의 계절 | MBC |
1980년 | 의친왕 | MBC |
1981년 | 암행어사 | MBC |
1981년 | 칼과 이슬 | MBC |
1982년 | 미련 | MBC |
1982년 | 제너럴 셔먼호 | MBC |
1982년 | 남강 이승훈 | MBC |
1982년 | 탄생 | MBC |
1983년 | 이삭을 거두며 | MBC |
1983년~1990년 | 조선왕조 오백년 | MBC |
1984년 | 유형의 땅 | MBC |
1987년 | 남태평양 3000마일 | MBC |
1994년 | 거인의 손 | MBC |
1997년 | 세 번째 남자 | MBC |
1999년 | 허준 | MBC |
2001년 | 상도 | MBC |
2003년 | 대장금 | MBC |
2005년 | 서동요 | SBS |
2007년 | 이산 | MBC |
2010년 | 동이 | MBC |
2012년 | 마의 | MBC |
2016년 | 옥중화 | MBC |
1983년, 작가 신봉승과 함께 8년에 걸쳐 대하드라마 ''조선왕조 500년''을 제작했다.[1] 1999년에는 ''허준''을 통해 사극 장르에 혁신을 가져왔다.[1][2] ''허준''은 전통 의학의 기틀을 다진 허준의 일대기를 다루었으며, 최고 시청률 64%를 기록했다.
2003년에는 ''대장금''을 연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대장금''은 한국 궁중 요리를 배우고 조선 최초의 여성 어의가 된 장금의 이야기이다.[5] 최고 시청률 57.8%를 기록했으며, 91개국에 수출되어 를 벌어들였다.
이후에도 ''서동요''(2005), ''이산''(2007), ''동이''(2010), ''마의''(2012), ''옥중화''(2016) 등을 연출했다.
4. 2. 기획
MBC 드라마 《내친구 천사》(1990) 기획[1]MBC 드라마 《김형사 강형사》(1990) 기획[2]
MBC 드라마 《각시방에 사랑 열렸네》(1990) 기획[3]
MBC 드라마 《전원일기》(1990~1991) 기획[4]
MBC 드라마 《한지붕 세가족》(1991) 기획[5]
MBC 드라마 《나의 어머니》(1991) 기획[6]
MBC 드라마 《동의보감》(1991) 기획[7]
MBC 드라마 《분노의 왕국》(1992) 기획[8]
MBC 드라마 《질투》(1992) 기획[9]
MBC 드라마 《파일럿》(1993) 기획[10]
MBC 드라마 《제4공화국》(1994~1995) 기획[11]
MBC 드라마 《대왕의 길》(1998) 기획[12]
MBC 드라마 《허준》(1999) 기획[13]
MBC 드라마 《상도》(2001) 기획[14]
5. 작품 세계
이병훈은 1970년 MBC에서 근무를 시작하여 1974년 연출가로 데뷔했다.[1] 1983년 작가 신봉승과 함께 8년에 걸쳐 대하드라마 ''조선왕조 500년''을 만들었는데, 이는 사극 장르를 단순한 역사 연대기에서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진본 기록을 해석하는 것으로 전환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김정수 작가의 현대극 ''엄마의 바다''(1993) 역시 최고 시청률 51.6%를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다.[1]
1999년, 이병훈은 "평민" 출신 역사 인물에 초점을 맞춘 ''허준''으로 사극 장르에 변화를 가져왔다. 전광렬이 동의보감을 저술한 허준 역을 맡아 전통 의학의 기틀을 다진 어의를 연기했다. ''허준''은 최고 시청률 64%를 기록했다.[1][2]
2001년에는 최인호의 소설을 각색한 상도가 방영되었고, 임상옥 역에 전광렬을 캐스팅했다.[3] 언론인들은 이병훈이 이전의 접근성 부족과 진부한 서사로 인해 노년층 남성 시청자들에게 어필했던 사극 장르를 젊은 시청자들에게 매력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퓨전 사극"이라는 용어로 표현했다.[4]
2003년 사극 ''대장금''에서 장금은 한국 궁중 요리를 배우고 조선 최초의 여성 어의가 된다. ''대장금''은 국내에서 최고 시청률 57.8%를 기록했으며, 91개국에 수출되어 한류의 주요 동력이 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를 벌어들였다. 배우 이영애는 중국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한국 문화의 아이콘이 되었다.[5]
이병훈은 이후에도 ''서동요''(2005), ''이산''(2007), ''동이''(2010), ''마의''(2012), ''옥중화''(2016) 등의 사극을 연출하였다.
5. 1. 주제의식
이병훈은 역사 드라마, 특히 사극 장르에서 독특한 주제의식을 보여준다. 1983년 신봉승 작가와 함께 《조선왕조 500년》을 제작하며 역사적 사실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시도했다.[1] 1999년에는 《허준》을 통해 왕족이나 권력자 중심의 역사에서 벗어나 평민 출신 인물인 허준을 조명하며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전광렬이 연기한 허준은 동의보감을 저술하고 전통 의학의 기틀을 다진 인물로, 드라마는 64%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2]이후 이병훈은 《대장금》을 통해 한국 궁중 요리를 배우고 조선 최초의 여성 어의가 된 장금의 이야기를 다루며 다시 한번 평민 여성의 성공 스토리를 그려냈다. 《대장금》은 국내외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한류 열풍을 이끌었다.[5]
그는 《서동요》, 《이산》, 《동이》, 《마의》, 《옥중화》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역사 속 인물들의 사랑, 성공, 그리고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데 주력했다.[6][7][8][9][10][11] 특히, 《옥중화》에서는 감옥에서 태어난 주인공이 가난하고 억울한 사람들을 위해 변호하는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11]
5. 2. 반복되는 설정
- 대부분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 드라마 제목은 대개 주인공의 이름이다.
- 왕실이 주 무대였던 기존 사극과 달리 관청을 배경으로 직업세계를 그려내는 경우가 많았다.
- 왕비나 공주 등이 대부분이었던 기존 사극의 여자 주인공과는 달리 전문직에 종사하는 진취적이고 활달한 여성상을 그려냈다.
- 반복되는 등장인물 이름
이름 | 해당 드라마 |
---|---|
시비 | 이산, 동이 |
동주 | 동이 (최동주), 옥중화 (민동주) |
막개 | 대장금 (윤막개), 옥중화 (정막개) |
선화 | 서동요, 옥중화 |
천수 | 대장금 (서천수), 이산 (박천수) |
종금 | 동이, 옥중화 (오종금) |
~녕 | 상도 (박다녕), 마의 (강지녕) |
~금 | 상도 (홍미금), 대장금 (서장금, 최성금), 이산 (김정금, 곽미금), 동이 (은금), 옥중화 (오종금) |
~비 | 대장금 (신비, 은비), 이산 (강미비, 시비), 동이 (시비) |
~이 | 상도 (이쁜이), 대장금 (박명이, 박열이, 노창이, 홍이), 동이 (최동이) |
~영 | 대장금 (한백영, 최금영), 서동요 (주리영) |
~연 | 상도 (윤채연), 이산 (성송연) |
~희 | 허준 (이다희), 동이 (설희) |
초~ | 서동요 (초기), 이산 (양초비) |
~호 | 대장금 (민정호, 오겸호), 이산 (오정호) |
6. 이병훈 사단
참여 작품 수 | 배우 이름 | 참여 작품 |
---|---|---|
10 | 신국 | 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 〈임진왜란〉, 허준,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동이, 마의, 옥중화 |
8 | 나성균 | 허준,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동이, 마의, 옥중화 |
이숙 | 허준,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동이, 마의, 옥중화 | |
이희도 | 허준,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동이, 마의, 옥중화 | |
맹상훈 | 허준,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동이, 마의, 옥중화 | |
8 | 한인수 | 조선왕조 오백년 〈뿌리깊은 나무〉, 〈풍란〉, 〈인현왕후〉, 〈대원군〉, 허준, 서동요, 이산, 옥중화 |
8 | 박태호 | 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 〈임진왜란〉, 〈한중록〉, 〈대원군〉,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
7 | 임현식 | 암행어사(1981), 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 허준,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
서범식 | 허준, 상도, 대장금, 서동요, 이산, 마의, 옥중화 | |
6 | 정욱[14] | 조선왕조 오백년 〈뿌리깊은 나무〉, 〈설중매〉, 〈한중록〉, 〈대원군〉, 허준, 서동요 |
안여진 | 대장금, 서동요, 이산, 동이, 마의, 옥중화 | |
이도은 | 조선왕조 오백년 〈인현왕후〉, 〈한중록〉, 허준, 대장금, 이산, 옥중화 | |
이 외에도 이승아, 전인택, 김해숙, 홍민호, 김홍수, 이순재, 백현숙, 조경환, 변희봉, 박찬환, 정호근, 김혜선, 견미리, 엄유신, 김소이, 이계인, 정혜선, 박정우 등이 이병훈 감독의 작품에 참여했다. |
7. 논란
마지막 승부 책임 프로듀서로 참여했을 당시, 제작비가 당초 예산보다 2억원을 초과하여 근신 15일의 징계를 받았다.[1] 1995년 2월 10일에는 동료 PD 최종수, MBC 기획조정실장 이연헌과 함께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영장이 신청되기도 했다.[2]
8.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75년 | 방송윤리상 (제3교실) |
1982년 | 대한민국 문화공보부 장관 표창 (남강 이승훈) |
1986년 | 한국방송대상 TV 부문 최우수 프로듀서상 (임진왜란) |
2000년 | 한국방송협회 방송대상 드라마 부문 우수상 (허준) |
2000년 | 국회 대중문화 미디어상 (허준) |
2000년 | 한국PD연합회 올해의 PD상 (허준) |
2002년 | 한국방송협회 방송대상 드라마 부문 (상도) |
2004년 | 제40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최우수 연출상 (대장금) |
2004년 | 자랑스러운 한양언론인상 (한양언론인회) |
2005년 | 제6회 방송인상 방송제작 부문 개인 수상 (여의도클럽) |
2006년 | 옥관 문화훈장 |
2008년 | 제44회 백상예술대상 TV 부문 최우수 연출상 (이산) |
2008년 | 제3회 좋은 방송 프로그램상 (이산) |
2010년 | 제3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공로상 (동이) |
2015년 | 제10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 10주년 한류 공로상 |
9. 저서
- 《꿈을 세워라 왕국: 이병훈 연출가의 드라마 이야기》 (2009)
- 《꿈의 왕국을 세워라》 (2009년, 대한민국)
- 《한국 시대극의 모든 것 - 이병훈 감독, 전 자작을 말하다 -》 (2010년, 일본)
- 《장금이, 이산의 감독이 말하는 한류 시대극의 매력》 (2012년, 일본)
참조
[1]
웹사이트
Top 50 highest-rated TV dramas of all time
http://blue1004.word[...]
2010-12-08
[2]
웹사이트
Historical Drama and Future
http://webzine.kofic[...]
2013-02
[3]
웹사이트
"Hur Chun" star cast as hero of new historical drama "Sangdo"
http://english.donga[...]
2001-02-27
[4]
웹사이트
TV REVIEWS: 한성별곡-正 (Conspiracy in the Court)
http://twitchfilm.co[...]
2008-08-29
[5]
웹사이트
Lee Young-ae could return to iconic series
http://koreajoongang[...]
2014-03-22
[6]
웹사이트
Drama Shows Ancient Technology
http://www.hancinema[...]
2005-10-02
[7]
웹사이트
TV Falls in Love with Epic Dramas
https://www.koreatim[...]
2007-09-18
[8]
웹사이트
Han Hyo-joo Changes Tack in Costume Drama
http://english.chosu[...]
2010-04-13
[9]
웹사이트
Gays, girls, gobs of cash hit airwaves
http://koreajoongang[...]
2010-02-25
[10]
웹사이트
Cho Seung-woo to star in MBC historical drama
https://www.koreatim[...]
2010-06-25
[11]
웹사이트
Joseon-era epic promises 'unexpected' adventures
http://english.yonha[...]
2016-04-28
[12]
웹사이트
꿈의 왕국을 세워라 이병훈 감독의 드라마 이야기
http://www.kyobobook[...]
[13]
웹사이트
이병훈 (イ・ビョンフン)
http://focus.chosun.[...]
[14]
문서
다단계사기 혐의로 기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